중국문학사-그들의 세계속으로(23)
-
청대(淸代) 동성파와 변려파의 산문특징
1. 청나라 초의 산문 청나라 초의 대학자인 왕부지(王夫之)·고염무(顧炎武)·황종의(黄宗義)는 후대에 사람들에게 청초의 삼대사(三大師)로 존경받으며 많은 글을 남겼다. 그리고 그들의 문장관은 청대 산문에 크게 영향을 끼쳤다. 그들은 주관이 뚜렷하고 성실한 학자로서 세상을 올바로 다스리는데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장은 모두 쓸데없는 해로운 글이라 생각하였다. 그래서 그들은 명대(明代)의 의고주의(擬古主義: 옛글을 너무 중시한 나머지 모방하기에 급급하던 풍조)도 반대하였지만, 성령파(性靈派)의 낭만주의적인 문장도 배격하였다. 심지어는 순수문학의 존재조차도 문학적으로 인정하려 하지 않았다. 고염무의 「일지록(日知錄)」이나 「정림문집(亭林文集)」에는 '문장이 세상에서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도(道)를 드러내기 ..
2023.02.05 -
청대(淸代) 시대적 배경과 문학
1. 한족의 문화를 아우르는 새로운 제국 청나라는 만주족의 왕조였으나 과거 몽고족이 지배했던 원나라와는 달리 문학과 예술이 매우 성행한 시기였다. 이는 청나라가 몽고족의 원나라처럼 잔인한 무력으로 한족들을 극악무도하게 핍박하지 않고, 무력을 쓰는 와중에도 부드러운 문화 융화 정책으로 한족들을 아우르려 했기 때문이다. 만주족은 한족의 문화가 가진 전통과 가치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여 한족의 사회 관습이나 종교의식 같은 것도 존중하며 보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뿐 아니라, 만주족의 황실 사람들이나 귀족들은 스스로 자진하여 어릴 적부터 한족 문화를 배우며 한족과 같은 윤리관을 지니고 한족과 같은 형식과 내용으로 글을 짓기에 이르렀다. 만주족은 무력으로는 한족을 지배했을지는 모르지만 문화적으로는 한족에게 동화되..
2023.02.03 -
영토적 특징과 중국문학의 관련성
1. 중국 문학의 시초 중국 문학은 세계 그 어느 지역에서 발달한 문학보다도 길고 끊임없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것이야말로 중국이란 나라의 문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특징이기도 하다. 중국 최고(最故)의 시가집인 속 시들이 쓰였던 시대에 지구 반대편의 서양에서는 같은 서사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그 밖에도 인도, 이집트, 헤브라이 같은 나라에서는 중국의 보다도 훨씬 앞선 문학작품이 존재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이러한 지역의 문학은 모두 계속하여 후세에까지 전해지지 못하였고, 그 발전과 흐름이 끊겨 자취를 감추곤 했다. 그러나 중국의 경우 그 형식과 내용을 막론하고 근세에 이르기까지 계승 발전되면서 시대마다 상응하는 문학을 발전시켜 왔다. 후세에 뒤늦게 발달했던 근체시나 고시는 형식을 막론하고도 ..
2023.02.02 -
명나라 오대전기(五大傳記) 줄거리와 문학적 의의
원나라의 잡극과 대조하여 명대 희곡으로 성행한 잡극은 강남지방을 중심으로 시작하여 전국적으로 사랑받는 장르가 되었다. 이렇게 생겨난 새로운 형태의 연극을 '전기'라고 했는데, 본래에는 당나라 소설을 가리키는 말로 시작하였으나 나중에는 명대 이후의 새로운 형태의 희곡을 가리키는 말로 불리게 되었다. 명대에는 많은 대중의 사랑을 받았던 다섯 가지 전기가 있었는데, 각각 「살구기」, 「백토기」, 「배월정」, 「형차기」, 「비파기」이다. 이 다섯 편의 전기는 현실감 있는 내용과 예술적인 내용으로 이 시기를 대표하는 희곡이 되었다. 「살구기」는 모두 36척(尺)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작자를 알 수 없는 민간에서 나온 작품으로 그 가치가 더 높다. 원나라 소덕상(蕭德祥)의 잡극인 「살구권부(殺狗勸夫)」를 새롭게 개..
2023.02.01 -
명대(明代) 다섯 가지 전기(傳記)
1. 명 초의 잡극과 전기 원대에 화려하게 번성했던 잡극은 본래 원의 수도였던 북경(大都, 北京)을 중심으로 발생하고 유행한 것이었다. 그러나 강남 지방에는 송대부터 유행하던 연극인 남희(南戲, 혹은 희문 戯文)가 민간에 유행하게 되었다. 다만 원나라가 남송을 멸망시킨 후에는 원나라의 잡극에 압도되어 점차 쇠퇴하게 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남희(南戲)가 완전히 없어진 것은 아니었고, 여전히 민간에 명맥을 유지해 오면서 비주류로서 오랜 기간 동안 잠복시간을 갖는다. 연극은 시나 소설과 달라서 지역과 공간의 제한을 강하게 받는다. 시문이나 소설 작품은 인쇄가 가능하고 전국에 유포되는 것과는 달리, 연극은 일정한 범위 내의 지역에서 공연되며, 직접 공연장에 와서 공연을 볼 수 있는 그 지역의 주민을 관객으로 하..
2023.01.29 -
명대(明代) 4대 장편소설
1. 명대 소설의 특징 명나라 시기에는 시문을 중심으로 하는 정통문학은 과거 남송 시대와 원나라 때를 이어 부진하였으나, 소설이나 희곡 같은 통속적인 문학은 매우 발달하여 명대 문학을 대표하게 되었다. 송·원대에도 화본소설(話本小說)은 있었지만 그것은 이야기를 읽어주는 설화인들의 대본이어서, 본래 목적이 독자들이 읽기 위하여 지은 것은 아니었다. 명나라에 와서야 본격적으로 독자를 고려한 장편·단편의 소설이 발전하였다. 희곡도 원나라 때에는 북곡(北曲)인 잡극이 유행했지만, 명나라에 와서는 남곡(南曲)인 장편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 희곡이 발전하였다. 명대 소설이 성행했던 원인은 대체로 다음 세 가지로 볼 수가 있다. 첫째, 실제 사람들의 사용언어를 담은 백화문이 성숙하고 발달된 표현 기교로 여겨졌다. 당..
2023.01.26 -
명(明)나라 시대상과 문학
1. 명대(明代)의 시대 배경 명나라 태조(太祖)가 된 주원장(朱元璋)은 1368년에 몽고의 원나라를 멸망시키고 남경(南京)에 한족의 새로운 왕조인 명(明) 나라를 세웠다. 태조는 건국을 이루고 나서 곧바로 그동안 국토를 개척하며 전쟁으로 황폐해졌던 사회를 재건하기에 노력하였다. 동시에 그동안 원나라의 지배를 받으며 사회 곳곳에 자리 잡은 여러 가지 몽고풍의 제도와 오랜 풍습 등을 없애고 한족의 문화를 사회 곳곳에 뿌리내리는 데 힘썼다. 지역 곳곳에 학교를 세우고, 과거제도를 실시하여 한족으로 이루어진 관료를 뽑음으로써 몽고의 흔적을 없애고자 했다. 또한 주자학(朱子學)을 바탕으로 한 전통적 학문의 부흥에 힘썼다. 도읍을 북경(北京)으로 옮긴 성조(成祖) 시기에는 관료들에게 명령하여 「오경대전(五經大全)..
2023.01.25 -
원대(元代) 전기와 후기의 산곡(㪚曲)
1. '원곡사대가'와 전기 문학 원나라 전기의 '산곡'은 중에서도 주로 관한경·백박·마치원의 세 사람이 대표적 작가로 꼽히며, 여기에 왕실보를 함께 포함하기도 한다. 이들은 모두 잡극이라는 장르에 두드러진 대작을 남기고 있다. 관한경의 생애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그의 산곡인 「불복로(不伏老)」에 의하면, 그는 온갖 예능에 정통하여 주색과 가무를 즐기며 일생을 보낸 사람이었다고 한다. 이는 마치 북송 때의 유영(柳永)과 비슷한 생활을 하였던 것 같다. 그의 소령(小令)은 민중의 생활언어인 백화체로서 남녀의 은은한 정을 가볍고도 솔직하게 노래한 것이 많았는데, 이는 그의 이러한 생활환경으로 비롯된 것일 것이다. 그러나 관한경의 투수(套數)에서는 좀 더 정돈된 아름다운 글로 발전하고 있는데..
2023.01.25 -
원대(元代)에 등장한 새로운 문학 장르
1. 원대(元代) 문학의 배경 원(元) 나라는 약 160년에 걸쳐 중국을 지배했던 왕조이다. 몽고족은 사막을 떠도는 유목민족으로 무력으로서 천하를 제패하기는 하였으나, 예악이나 문화의 가치를 우습게 여기는 민족이었다. 이런 억센 민족의 통치 아래에서 경제적인 번영에서 비롯된 사치와 오락을 누리던 한족들이 얼마나 비참한 처지에 놓이게 되었을지 가늠해 볼 수 있다. 그들은 관원을 뽑는다든가 또는 사회생활을 하는 데에 있어, 첫째로 몽고인, 둘째는 색목인(色目人, 즉 서역이나 유럽사람들), 셋째 한인(漢人), 마지막 남인(南人)의 네 등급으로 사람을 구분하여 대우하였다. 이후 약 80년 동안 이과 같은 차별 대우가 행해졌으니 한족인 지식인들은 발붙일 곳이 거의 사라졌다. 그리고 유생은 그중에서도 가장 천시되었..
2023.01.24 -
송대의 강창(講唱)과 소설
1. 송대의 강창 송대에는 문화·학술·예술·경제 및 상공업의 번영으로 시민들이 여유가 생겨 여러 가지 서민오락과 민간연예가 성행하였다. 도시마다 '와사(瓦舍)' 또는 '구란(勾欄)'이라 부르던 대중 연예의 장소들이 생기고, 거기에서는 시민에게 보여주기 위한 한 갖가지 연예들이 연출되었다. 송대 도시경제의 번영과 거기에서 비롯된 갖가지 연예 문화에 대해서는 주밀(周密)의 「무림구사 (武林舊事)」 등 다양한 기록이 있다. 이들에 의하면 송대에는 '강창'이라 부르는 이야기와 노래를 중간중간 섞어가며 청중들에게 일정한 고사를 들려주던 연예가 유행하였다. 이것은 당대의 변문 또는 속강에서부터 발전한 것으로, 그 대본은 운문과 산문이 섞여 있는 독특한 형식의 글이다. 이 시대에 유행했던 강창의 종류는 매우 다양한데..
2023.01.24 -
송대(宋代) 산문과 고문운동
1. 송나라 초기 산문의 특징 송 초 때에도 고문은 상당한 수준으로 계승되고 있었다. 문장의 아름다운 수사에 힘쓴 서곤체와 변려체를 짓는 문인들이 그 명맥을 여전히 이어가는 반면, 구준(寇準)· 위야(魏野)·왕우칭(王禹偁)· 임포(林逋) 등이 서곤체나 변려체와는 다른 솔직하고 청신한 시를 지었고, 이에 그치지 않고 고문을 쓸 것을 제창하였다. 그리고 이들에 이어 목수(穆修)·윤수(尹洙) 범중엄(范仲淹) 같은 사람들이 고문을 내세웠다. 이들은 '문장이란 도를 잡아 담는 통발과 같은 것이니, 통발을 과연 함부로 만들어서야 되겠는가? 통발이 좋지 않으면 잡았던 것도 잃게 된다. 글이란 내용인 이치보다도 표현이 화려한 게 나쁜 것이지, 이치가 표현보다 화려한 것은 나쁘지 않다.'라고 하면서 문장에는 도(道)가 ..
2023.01.23 -
송대(宋臺) 시대적 특징
1. 남송과 북송의 정치 사회적 특징 송나라는 태조(太祖)가 나라를 세운 뒤 금(金) 나라의 침입으로 다음 해 금나라 군대에 잡혀가기까지의 168년간을 북송(北宋), 고종(高宗)이 남쪽으로 도망 와 즉위한 후 원(元) 나라의 침입으로 송나라가 완전히 망해버리기까지의 153년 동안을 남송(南宋)이라 부른다. 북송(北宋)은 태조에서 시작하여 태종에 이르러서는 중국을 완전히 통일하였는데, 당나라 멸망의 이유를 중앙정권의 약화 때문이라 여기고, 여러 가지 제도를 개혁하여 중앙집권을 이루고 지방의 병력과 돈을 모두 중앙으로 거둬들였다. 태종은 직접 전쟁에 참여하여 국토를 정벌하는 한편으로는 숭문원(崇文院)을 세워 고문장서를 모으고 여러 문신들에게 명령하여 「태평어람(太平御覽)」이나 「태평광기(太平廣 記)」 등을 ..
2023.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