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문과(7)
-
청대(淸代) 시대적 배경과 문학
1. 한족의 문화를 아우르는 새로운 제국 청나라는 만주족의 왕조였으나 과거 몽고족이 지배했던 원나라와는 달리 문학과 예술이 매우 성행한 시기였다. 이는 청나라가 몽고족의 원나라처럼 잔인한 무력으로 한족들을 극악무도하게 핍박하지 않고, 무력을 쓰는 와중에도 부드러운 문화 융화 정책으로 한족들을 아우르려 했기 때문이다. 만주족은 한족의 문화가 가진 전통과 가치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여 한족의 사회 관습이나 종교의식 같은 것도 존중하며 보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뿐 아니라, 만주족의 황실 사람들이나 귀족들은 스스로 자진하여 어릴 적부터 한족 문화를 배우며 한족과 같은 윤리관을 지니고 한족과 같은 형식과 내용으로 글을 짓기에 이르렀다. 만주족은 무력으로는 한족을 지배했을지는 모르지만 문화적으로는 한족에게 동화되..
2023.02.03 -
명(明)나라 시대상과 문학
1. 명대(明代)의 시대 배경 명나라 태조(太祖)가 된 주원장(朱元璋)은 1368년에 몽고의 원나라를 멸망시키고 남경(南京)에 한족의 새로운 왕조인 명(明) 나라를 세웠다. 태조는 건국을 이루고 나서 곧바로 그동안 국토를 개척하며 전쟁으로 황폐해졌던 사회를 재건하기에 노력하였다. 동시에 그동안 원나라의 지배를 받으며 사회 곳곳에 자리 잡은 여러 가지 몽고풍의 제도와 오랜 풍습 등을 없애고 한족의 문화를 사회 곳곳에 뿌리내리는 데 힘썼다. 지역 곳곳에 학교를 세우고, 과거제도를 실시하여 한족으로 이루어진 관료를 뽑음으로써 몽고의 흔적을 없애고자 했다. 또한 주자학(朱子學)을 바탕으로 한 전통적 학문의 부흥에 힘썼다. 도읍을 북경(北京)으로 옮긴 성조(成祖) 시기에는 관료들에게 명령하여 「오경대전(五經大全)..
2023.01.25 -
원대(元代) 전기와 후기의 산곡(㪚曲)
1. '원곡사대가'와 전기 문학 원나라 전기의 '산곡'은 중에서도 주로 관한경·백박·마치원의 세 사람이 대표적 작가로 꼽히며, 여기에 왕실보를 함께 포함하기도 한다. 이들은 모두 잡극이라는 장르에 두드러진 대작을 남기고 있다. 관한경의 생애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그의 산곡인 「불복로(不伏老)」에 의하면, 그는 온갖 예능에 정통하여 주색과 가무를 즐기며 일생을 보낸 사람이었다고 한다. 이는 마치 북송 때의 유영(柳永)과 비슷한 생활을 하였던 것 같다. 그의 소령(小令)은 민중의 생활언어인 백화체로서 남녀의 은은한 정을 가볍고도 솔직하게 노래한 것이 많았는데, 이는 그의 이러한 생활환경으로 비롯된 것일 것이다. 그러나 관한경의 투수(套數)에서는 좀 더 정돈된 아름다운 글로 발전하고 있는데..
2023.01.25 -
위진남북조(魏晋南北朝) 시대와 건안문학
1. 위진남북조 시대적 특징 이 시대는 실제로 위(魏) 나라 조조(曹操)가 천하의 권력을 잡았던 동한 말부터 시작한다. 동한은 말엽으로 갈수록 왕족들의 부패한 생활, 외척·환관과 관료들 사이의 심한 세력 다툼과 갈등으로 정치와 경제가 극도로 혼란하여 백성들의 삶은 말할 수 없는 고난 속에 빠져 있었다. 황건적(黃巾賊)의 난은 이러한 백성들의 고난이 심화되어 터진 것이고, 또 이것은 한나라의 수명이 곧 다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는 것이었다. 건안(建安) 13년에 이르는 19년 동안에는 단 하루도 전쟁 없이 고요한 날이 없어, 황하 유역 일대에는 모든 생활지가 크게 파괴되고 수많은 백성들이 목숨을 잃었다. 그리고 건안 13년 유명한 역사적으로도 유명한 적벽대첩 이후에는 나라가 조조(曹操)의 위(魏),..
2023.01.21 -
한대(漢代 ) 시대적 특징과 부(賦)
1. 유교 중심의 국가 진시황이 B.C. 221년 천하를 통일하고 전국시대의 혼란이 잠잠해진 후, 그는 다시 전국의 도량형을 통일하고 한자의 자체를 통일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지금의 중국이란 나라의 기반이 되는 정치/문화적 터전을 이룩하였지만, 그는 백성에게 가혹한 정책을 남용하고 사상과 학술의 다양성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이마저도 통일하기 위해 분서갱유(焚書坑儒)라는 폭정을 저질렀다. 분서갱유는 천하의 사상서를 모두 모아 불태우고 자신의 정책을 비방한 유생 460명을 잡아다 산 채로 땅에 묻은 사건이다. 한나라는 진나라 말엽의 법가사상을 버리고 백성들이 마음 편히 살 수 있도록 해주는 것에 애를 썼다. 한나라는 유학을 받아들여 이를 나라의 정치이념으로 삼고 문화/사상/정치적인 통일을 이루기 위해 노력했다..
2023.01.20 -
동주문학 시대의 다양한 기록
동주문학(東周文學)은 사실 춘추 말엽~전국시대의 문학을 말한다. 앞서 말한 , 과 같은 문학은 대체로 춘추시대 초기~중기의 문학으로 분리되며, 이는 편의를 위해 분류한 것이다. 동주문학은 을 계승하여 사건을 기록한 글과 이 시대에 성행한 제자들이 기록한 사상을 기록한 글 두 가지가 있다. 특히 유가/도가/법가/묵가 등 이른바 제자백가가 저술한 글은 이 시대의 새로운 문학이 등장했음을 알려준다. 다만 이때에는 을 이을 새로운 시가가 전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은 중국문학 역사상 가장 두드러지는 점이라 할 수 있다. 1. 사건을 기록한 글 사건을 기록한 글 중에서도 사상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공자가 편찬한 이다. 는 노나라에서 전해지는 사관의 기록을 중심으로 공자가 모아 엮은 것이다. 하지만 그 내용이 ..
2023.01.20 -
중국문학의 근본, 한자
1. 한자의 특징 고대문자 중 가장 자료가 풍부한 갑골문자는 중국을 포함한 전 세계 공공기관과 개인의 소장품 모두를 합치면 약 10만 조각이 넘는다고 한다. 여기에 쓰인 글자는 총 2천 자를 넘는 수인데, 그중에서도 독해가 가능한 것은 반 정도이다. 한자가 표의문자임을 생각할 때, 우리가 나타내려고 하는 명사만을 놓고 생각해 본다고 하더라도 고작 2천 자를 넘는 글자 수로는 표현에 큰 제약이 있었을 것은 매우 당연하다. 한자는 표의문자라고 하지만 문장은 언어와 완전히 떨어져 발전할 수 없는 것이므로 표음의 기능도 무시할 수 없는 일이다. 한자의 형성자는 이미 표음의 기능이 상당히 갖추어진 글자였음을 보여주는데, 특히 복합사의 발달은 이러한 표음의 기능을 더욱 중시하게 하였다. 현대로 오면서 이러한 현상은..
2023.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