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대(宋臺) 시대적 특징

2023. 1. 23. 19:15중국문학사-그들의 세계속으로

반응형

 

 

 

1. 남송과 북송의 정치 사회적 특징

  송나라는 태조(太祖)가 나라를 세운 뒤 금(金) 나라의 침입으로 다음 해 금나라 군대에 잡혀가기까지의 168년간을 북송(北宋), 고종(高宗)이 남쪽으로 도망 와 즉위한 후 원(元) 나라의 침입으로 송나라가 완전히 망해버리기까지의 153년 동안을 남송(南宋)이라 부른다. 북송(北宋)은 태조에서 시작하여 태종에 이르러서는 중국을 완전히 통일하였는데, 당나라 멸망의 이유를 중앙정권의 약화 때문이라 여기고, 여러 가지 제도를 개혁하여 중앙집권을 이루고 지방의 병력과 돈을 모두 중앙으로 거둬들였다. 태종은 직접 전쟁에 참여하여 국토를 정벌하는 한편으로는 숭문원(崇文院)을 세워 고문장서를 모으고 여러 문신들에게 명령하여 「태평어람(太平御覽)」이나 「태평광기(太平廣 記)」 등을 편찬하며 문화면에도 힘썼다. 그 결과 중원의 문물은 다시 화려하게 꽃을 피우기 시작하여 많은 명작들이 나오게 되었고, 중국의 문화· 예술 학술·문학 모든 면에 걸쳐 전무후무한 발전을 이루기 시작했다. 북송 중앙집권의 성공과 문화의 발전은 경제발전이 그 초석을 이루고 있다. 송나라의 경제는 급격한 상공업의 발달이 앞장섰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수공업을 중심으로 하는 무기·방직·자기(瓷器)·칠기(漆器) ·제지· 인쇄 등의 발달은 중국 역사상 전에 볼 수 없었던 발전이었다. 상업은 곳곳의 도시를 번성케 하여 다양한 국내 상업의 중심지가 번영하였고, 남방 지역의 많은 곳이 유명한 국제적인 무역도시로 발전하였다. 한편, 중앙에 모든 힘을 쏟아부은 여러 가지 제도의 개혁은 그 운영 방법이 세세하지 못하여 많은 문제와 모순을 갖게 되었다. 군대에는 쓸데없는 인원이 너무 많았으며, 중앙에서 일방적으로 명령을 내리다 보니 부대의 이동이 너무 잦았고, 군권을 유지하기 위해 치하하는 상이 너무 많은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행정에 있어서도 과거제도를 공정히 개혁하는 많은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으나 너무 많은 관리를 등용하여 쓸데없는 인력이 많았고 월급과 공로에 대한 상도 남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군대는 그 수에 비하여 전투 능력이 형편없었고, 행정은 효율적 측면에서 효과가 매우 저조했다. 여진족의 금에 의해 멸망 이때, 송나라 북쪽엔 거란(契丹)족의 요(遼) 나라가 기세를 넓히고 있었고, 서쪽엔 서하(西夏)라는 종족이 흥하고 있었는데, 북송은 이들과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한 채 매년 셀 수 없는 비단과 은을 팔아치우며 이들이 침략을 하지 않도록 달래면서 지내고 있었다. 이는 비효율적인 군대와 관료의 관리가 가져온 결과라 할 것이다. 그리고 북송 말엽에는 북쪽에 여진족(女眞族)의 나라가 강대해져 마침내는 요를 멸망시키고 다음 해에는 북송까지도 침략하게 된다.

 

 

 2. 신(新)유학과 새로운 문학운동

송대에는 남북을 막론하고 정치적으론 어지럽고 대외적으론 무력했지만, 상공업의 발달과 경제의 번영으로 귀족계급의 사치와 향락 추구가 흥성했고 중국의 문화가 모든 면에서 극도의 발전을 이루었던 시대이다. 특히 북송은 중국 고전문학이 시문(詩文)뿐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 민중의 예술에 있어서까지도 최고 수준의 발전을 이룩했던 시대이다. 하지만 남송 이후는 시를 중심으로 하는 중국 문학의 오랜 전통은 멈추고, 대신에 통속적인 소설과 희곡을 중심으로 하는 문학창작이 발달한 시기이다. 이것은 오랫동안 발전을 하여온 중국 문학이 그 전통에 있어 문제가 생겼음을 뜻한다. 한편 그 문화의 중요한 바탕이 되는 유학 사상이 현실 문제는 도외시하고 지나치게 추상적이라고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성(性)과 이(理)·기(氣) 같은 문제를 추구하는 신(新)유학으로 변하였다는 것도, 당시 문화 발달의 한계를 체감하게 한다. 송대에 와서 고문운동은 큰 성공을 거두게 된다. 중당 이후로 고문은 그대로 쓰이기는 하였으나 변려문 또한 그대로 쓰였고, 고문을 쓰려는 의식이 아주 옅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주양수(毆陽修), 왕안석(王安石) 등 이른바 육대가(六大家)가 나옴으로써 고문운동은 드디어 완성을 보게 된다. 여기에서는 한유가 시작한 고문운동의 도학적(道學的)인 성격이 송대에 발전한 성리학과 궤도를 같이하게 된다. 송시의 발전도 이러한 고문의 흥성과 맥을 함께 한다. 송나라 초기에는 화려한 수식미를 강조하는 문체가 주를 이루었지만, 곧이어 시의 개성과 뜻을 중시하는 개성적인 시법이 발전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송대의 시는 후세 중국인들이 그다지 중시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아마도 강성한 대국의 중국의 모습이 아닌 국세가 부진했던 송대를 가볍게 보려는 중국인으로서의 편견도 작용했기 때문인 듯하다. 하지만 송시는 이전의 중국 시들 보다도 크게 발전한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도 시의 내용과 형식의 규모가 크게 확대되었다. 송대에 이르러는 시인들이 자기 생활 주변의 모든 것, 예를 들면 사회·자연·개인의 사사로운 문제 등 생활과 밀접한 내용을 모두 시로 읊었고, 모든 형식의 시를 다양한 내용에 맞추어 표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산문에서도 훌륭한 수준의 글을 쓰고 있다는 것이 그것이다. 북송과 남송을 관통하는 도시경제의 발달로 시민들은 오락을 추구하며 여러 가지 민간연예를 발전시켰다. 이 중 특히 강창(講唱)과 가무희(歌舞戱)로 인해 큰 규모의 연극을 뜻하는 대희(大戱)가 생겨나게 되었다. 이렇게 볼 때 송대는 중국의 정통 문학인 시와 산문이 역사상 최고 경지에 이르게 되고, 새로운 형식의 민간문학도 발달하며 중국문화 발전 사상 가장 의미 있는 분기점이 되었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