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 23. 13:30ㆍ중국문학사-그들의 세계속으로
1. 성당(成唐), 시대적 화려함과 문학의 모습
성당은 '안사의 난'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기간을 뜻한다. 동시에 이 시기는 당제국이 극도의 번영을 누렸던 시기이다. 특히 성당의 초기에는 당제국의 국력이 가장 강하여 안정과 번영을 골고루 누린 시기였다. 모든 주변 다른 민족들은 당나라의 위세에 굴복하여 조공을 매일 갖다 바쳤고, 이러한 영향으로 세계적인 국제도시로 번영하였다. 하지만 그 뒤의 약 천 년간은 번영이 극도에 이르러 황제와 귀족들이 사치와 향락에 빠져 나라의 기강이 서서히 무너져가던 시간이었다. 특히 현종은 양귀비라는 절세 미녀에게 빠져 나랏일과 민생의 문제는 거들떠보지도 않고 여인과 향락에 깊이 빠졌다. 따라서 광대한 제국을 유지하며 황제의 허영심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국가에서는 백성들에게 과한 세금을 요구하게 되었고, 경계가 허술해진 중앙의 통제를 틈타 국경을 지키던 장수들은 그 세력을 제각기 독립시켜 강한 병력을 지닌 군대로 변하였다. 황제의 정치에 대한 무관심 때문에 조정안에서는 국정을 마음대로 휘두르려는 권신들이 생겨났다. 그 결과 755년에는 안록산(安祿山)이 난을 일으켜 당제국을 파국으로 몰아넣었다. 이 시기에는 변방의 장수들이 목숨을 걸고 전쟁을 치르며 겪는 고통과 불안정함을 그대로 묘사한 변새시파(邊塞詩派)의 시가 생겨났다. 극도의 번영을 누리다 불안정하고 파괴된 생활을 겪어내야만 하는 민생의 고통과 슬픔을 묘사하여 처절함이 묻어난다. 이러한 시풍은 앞선 시기의 풍조와는 다르게 매우 현실적이고 활동적이며 전투적인 특징이 있다. 안록산이 나라를 혼돈과 파국으로 이끌기 전까지, 이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은 그 어느 시기보다도 풍요롭고 호사스러운 생활을 즐겼고, 문인들은 이러한 생활상을 작품 속에 담아냈다. 시의 형식 또한 위진남북조 시대부터 초당 시기를 거치면서 발전한 아름다운 수사와 극도로 발달한 시의 형식을 계승하고 있다. 이처럼 아름다운 형식에다 풍족한 생활과 평화로운 삶에서 우러나온 생각과 감정을 실었기 때문에, 이 시기의 시는 고도의 발달을 이룩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로 말미암아 심지어 중국시는 곧 당대의 시가 대표하게 되었고, 당시(唐詩)는 곧 성당 시기의 시가 대표한다고까지 평가하게 된 것이다.
2. 자연시파(自然詩派)
당제국의 흥성과 부유한 삶을 통해 우러난 낭만적인 문학 풍조는 제일 먼저 자연의 아름다움과 전원생활의 한적함을 그려내는 자연시를 이룩케 한다. 진나라 도연명이 썼던 전원시(田園詩)는 제(齊) 나라와 양(梁) 나라 이후의 '궁체'의 유행으로 그 모습을 거의 볼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성당 시기에 이르러 지식인들이 전에 없이 누리게 된 이 정신적인 여유는 그들이 다시 전원시의 정취를 발견하게 하였고, 산수시(山水詩)의 기법까지 더하여 이른바 '자연시'를 발달시키게 되었다. 이 자연시파의 대표적인 작가는 맹호연(孟浩然)과 왕유(王維)이다. 자연시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이들의 시는 다섯 글자를 중심으로 쓰는 오언(五言)이 중심을 이룬다. 아마도 이전의 도연명·사령운과 같은 작가의 전통을 이어받은 이유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시의 내용은 전원의 여유로운 생활과 자연의 아름다운 풍경이 주를 이룬다. 셋째, 시의 풍격은 풍속적이면서도 우아하고 여유가 넘친다. 넷째, 작자들은 여유롭고 조용한 생활에 취해 사회나 민생의 문제는 멀리하였다. 왕유와 맹호연의 시는 비슷한 듯하나 그 분위기가 서로 다른데 왕유의 시가 자연과 완전히 융화되어 맑은 날 호수처럼 고요하고 아름다운 것과 달리, 맹호인의 시는 일찍부터 자연에 숨어 살면서 산과 강에서 보내는 생활을 노래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출세하지 못한 미련을 함께 묘사하고 있다. 따라서 맹호연이 노래하는 아름다운 자연 속에는 작자의 감정도 함께 섞여 있다. 왕유가 묘사한 자연의 아름다움이 객관적이라면 맹호연이 그린 자연은 주관적이고 더불어 자신의 감정과 행동이 함께 섞여 있다.
3. 낭만주의 시인, 이백(百)
당 제국의 번영과 흥망을 배경으로 발전한 자연시파·변새시파와 같은 낭만주의 문학은 '이백'이라는 역사적 시인에 의하여 더욱 크게 발전한다. 그는 고요하고도 아름다운 자연시의 정취와 격정적이고 웅대한 풍격을 모두 받아들여 5언과 7언의 장·단편의 시를 모두 잘 썼다. 그는 호기심과 의협심이 많아 대중의 감탄을 이끌어내기도 하였고, 신선과 술을 매우 좋아하여 많은 사람들이 그의 천진하고 맑고 깨끗한 성격을 동경하였다. 또한 이백은 달과 술을 좋아하여 그의 시에는 달과 술을 주제로 한 것들이 많으며, 정열적이고 자유분방했던 그의 사상이 시 속에 자연스럽게 묻어난다. 세속을 우습게 여기고 삶의 중요한 가치가 아니라 여겼던 그는 곧잘 산속에 숨어 신선 같은 생활을 보냈다. 하지만 그 스스로는 정치적 포부를 이루지 못하자 세속의 가치를 중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작품에는 혼란한 세상에 대한 분노와 이를 초월한 열정과 함께 노래한 것들도 있다. 그리고 그는 온 천하를 유람하며 직접 목격한 서민들의 고난을 시에 반영하고 인도주의를 바탕으로 한 작품도 곧잘 썼다. 이후 중당(中唐) 시기의 또 다른 천재 시인인 두보(杜甫)는 이백의 시를 두고, '붓을 대면 놀란 듯한 비바람 일으키고, 시가 완성되면 귀신까지도 울린다'며 찬탄했다. 이백은 '천재 시인'이라 평가받으며 후세에도 그의 시는 많은 사람들에게 회자되는데, 그의 대표작 <장진주(將進酒)>는 가장 많은 중국인의 사랑을 받는 시라고 할 수 있다.
'중국문학사-그들의 세계속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대(唐代)문학 (4) - 만당(晩唐) (0) | 2023.01.23 |
---|---|
당대(唐代)의 문학 (3) - 중당(中唐) (0) | 2023.01.23 |
당대(唐代), 화려한 시대적 특징 (0) | 2023.01.23 |
위진남북조 시대에 나온 문학평가 (0) | 2023.01.23 |
위진남북조(魏晋南北朝) 시대와 건안문학 (0) | 2023.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