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대(唐代), 화려한 시대적 특징

2023. 1. 23. 11:07중국문학사-그들의 세계속으로

반응형

 

 

 

1. 극강의 번영기, 당대 시대적 배경 

  수기 581년에 수나라 문제(文帝)는 오랜 시간 동안 혼란과 분열을 거듭해 온 중국 땅을 통일한다. 하지만 겨우 30여 년의 시간만 나라를 유지한 뒤에는 당나라 고조(高祖)가 그 뒤를 잇는다. 당나라는 906년까지 약 300년의 긴 세월 동안 대제국으로서의 위세를 떨치고 망하게 되었다. 이후 송나라의 태조 조광윤(趙匡胤)이 다시 나라를 통일하기까지 약 50년 간의 시간은 이른바 오대십국(五代十國)이라 부르는 혼전이 이어진다. 앞선 30여 년의 수나라는 당나라의 건설을 준비한 성격의 나라였다고 할 수 있고, 뒤의 50년간의 오대는 당나라가 멸망하면서 가져온 혼란이 아직 끝나지 않은 기간으로 볼 수 있어서, 이들을 모두 당대 문학에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수나라를 이어 건국한 당나라는 수나라의 멸망 원인을 교훈 삼아 균전제(均田制)와 용조법(租庸調法) 등을 시행함으로써 나라의 경제력을 발전시키고 사회생활을 안정시키기에 노력하였다. 그 결과 국력이 크게 신장되어 당나라 제국의 경제· 정치·문화가 각 방면에서 골고루 발전하는 황금기가 되었다. 그래서 역사책에서는 흔히 개원성세(開元盛世, ), 정관지치(貞觀之治世)란 말을 쓰며 이 시기의 번영을 가리키곤 한다. 그러나 당나라 초기에 실시한 균전제는 토지의 자유로운 매매를 허락하긴 하였으나 그 과정이 철저하지 않은 면도 있었기 때문에, 한 사람이 여러 토지를 동시에 겸하는 토지의 겸병(乘倂) 현상이 일어나 나중에는 많은 토지를 대지주들이 차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땅을 잃고 유랑하는 농민이 늘어났고, 국토 개척을 위한 전쟁이 계속되었으며, 황제의 사치는 날이 갈수록 심해져서 세금과 요역이 날로 늘어났다. 서민들의 생활은 갈수록 궁핍해졌지만 황제의 향락적인 생활과 대신들의 횡포는 그칠 줄을 몰랐다. 거기에 변방을 개척하기 위해 꾸려놓은 강력해진 지방 군대는 중앙정부와 자주 충돌까지 하게 되었으니, 당 제국의 황금 번영기도 극에 달하여 파국이 일보 직전에 놓여있는 상태였다.

  이러한 문제들은 결국 안사의 난(安史之亂)이 되어 터졌다. 안사의 난은 평화로웠던 당 제국을 하루아침에 진흙탕 속으로 휘몰아 넣어, 당대의 정치·문화·경제 전반에 걸친 발전에 급격한 제동을 걸었다. 전란으로 황하 유역은 크게 파손되고 여러 해 흉년이 계속되어 쌀값은 300배나 뛰어올랐었다 한다. 이에 수많은 백성들은 살길을 찾아 고향을 등지고 떠돌아다니다가 길거리에서 죽는 비참한 현상이 벌어졌다. 이러한 내란 통에 북방의 대지주들도 하루아침에 몰락한 반면, 일각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전란에 휩쓸리지 않은 남방으로 몰려가 항주(杭州)·양주(揚 州)등 남방 도시를 중심으로 하여 상업이 발달하기 시작했다. 

 

2. 경제의 발전과 문학 발전

  이러한 변화는 모두 경제적 문화적 대변혁의 기초가 되었다. 정치에서는 조정의 환관들이 세력을 키우며 본인의 이익을 챙기기 바빴고, 변방을 지키던 장수들은 자주 반란을 일으켰다. 그리고 밖에서는 다른 종족이 부단히 침입해 왔다. 이에 각종 세금이 많아졌음에도 국고는 계속해서 모자랐고 국민들의 생활은 날로 어려워졌다. 정치 사회적 모순이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심각한 문제로 발전한 것이다. 만당(晚唐)으로 와서는 이러한 혼란과 부패가 극에 달한다. 나라의 정권이 환관들의 수중으로 들어가다시피 하였다. 남부 지역만은 계속 전란에 크게 휩쓸리지 않고, 어느 정도의 안정과 번영을 누릴 수 있었다. 이에 후촉(後蜀)과 남당(南唐)은 경제적으로 가장 부유한 지역이었고, 이 시대 회화와 문학, 문학 등 문화 활동의 중심 지역이었다. 이러한 당대 300년간 흥망의 역사를 통하여 문학 발전에 큰 영향을 몇 가지 특징을 생각할 수 있다. 첫째, 상공업의 발달과 소시민층의 형성이다. 당나라 초기에는 농업 생산과 경제의 안정에 따라 각종 수공업이 크게 발달하였고, 또 수륙(水陸) 교통의 발전과 함께 상업도 크게 흥하여, 당나라와 교역하는 나라가 40여 국이나 되고 지역 한 도시에만도 외국인의 상점이 4,000여 개나 있을 정도였다고 한다. 안사의 난 이후 북방은 계속된 전쟁으로 크게 파괴되었지만, 남방은 안정되어 상업이 발달하고 도시가 번영하였다. 둘째, 외국 문화의 도입이다. 당나라는 처음부터 국토를 개척하려는 의지가 강했기 때문에 각 지방의 여러 나라와 전쟁을 통해 국토를 넓히려 하였다. 그 결과 외국과의 문화적/경제적 교류를 갖게 되었고, 이는 아시아 나라들은 말할 것도 없고 서역과 유럽 일부 국가와도 교류하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과거제도의 확립과 학교의 발달이다. 당나라는 수나라의 제도를 이어받아 과거제도를 확립시켰다. 특히 중기 당나라 이후에는 많은 하층의 지식인들이 과거시험을 통해 고급관료로 출세하면서 새로운 지도층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는 곧 문학발전에도 영향을 미쳐 새로운 시가와 산문 등이 발달하는 거름이 되었다. 넷째, 각종 예술과 종교가 발전했다. 당대에는 앞선 외국과의 다양한 교류로 외국음악이  크게 발전하였다. 이것들은 시가의 발전과도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며, 후세의 민간 연예 및 소설과 희곡 발달에도 기여하게 된다. 미술도 크게 발전하였는데 특히 작가 왕유는 그림뿐만 아니라 시에 있어서도 자연시의 경지를 높여 놓았고, 이백(李白)·두보(杜甫) 등 중국 전체 문학 역사상 가장 손꼽히는 작가로 남게 된다. 당나라는 다른 왕조들과 마찬가지로 유교가 정치 · 사상의 기본을 이루었지만, 도교 역시 유교만큼이나 존중되었다. 또한 불교도 극성하여 한때 대규모의 인도 불경의 번역 작업이 진행되었고 많은 불교 유적을 남기기도 하였다. 

 

 

 

 

 

 

반응형